Saturday, April 29, 2006

mumps, mum

최근에 본 두 단어가 맘에 걸려서 적어둔다.

학교에 mumps가 돌고 있으니, 조심하라는 이메일을 받았다. 사전을 찾아보니. 볼거리다. 내가 어렸을 적에 볼거리를 앓았었는지 어땠는지 기억이 없어서, 예방 접종을 맞아야 하는지 알 수가 없다. 집에 전화를 한 번 드려봐야 겠다.

Figo라는 파스타집 근처에 묘한 가게들을 찾았다. 한 가게는 각종 식료품과 가정용품을 파는 곳인데, 두당 100불은 줘야 먹는 비싼 식당 입구에 있다. 그 식당에 부속된 식료품점인데, 그 안에 들어가면 입구 왼쪽에 예쁜 꽃들이 반긴다. 국화인 것 같은데, mum이라고 써있어서 뭘까 했더니, Crysanthemum을 줄여서 미국애들이 mum이라고 부르는 모양이다. 하긴, Crysanthemum은 단어가 좀 복잡하지. 국화와 칼이란 책을 사놓고 읽지 못하고 있는데, 책이 한 권 있어도 Crysanthemum이란 단어는 외워지질 않는다. 이젠 외워지려나?

Saturday, April 22, 2006

묘한 사진

그녀와 함께 Lenox Mall에 있는 Apple Store에 들렀다. 간만에 그동안 손놓고 있었던 Apple의 software들을 둘러보는 도중에 Photo Booth라는 프로그램을 발견. 여자친구를 협박 회유하여 이 사진을 찍었다. 무슨 연쇄 살인 사건 포스터 같이 되어버렸는데... 각자의 얼굴이 예쁘게 나온 것은 아니지만, 독특한 재미를 선사해주지 않는가.

우리 둘에게 즐거운 시간을 선사해준 Photo Booth 및 Apple 관련 직원들에게 감사. 그들은 삶의 재미를 아는 사람들이다.

Tuesday, April 11, 2006

도시락

누군가가 싸준 도시락을 먹어본 것이 실로 오랜 만이다.

학창 시절 어머니가 곱게 싸주시던 도시락은 추억과 낭만으로 범벅이 되어서, 지금 다시 떠올리면 정확하게 어떤 도시락을 먹었는지 기억도 잘 안난다. 생각 나는 것이라곤 반찬가지고 친구랑 다툰 일이랑, 반찬 뺐기는 게 싫다며 밥 아래에 햄을 깔아서 오는 친구랑, 백민이 할머니의 정말정말 맛있었던 도시락 반찬 정도가 어렴풋이 떠오른다.

유학 와서 지난 학기부턴가 혼자 싸다니던 도시락에는 낭만보다는 생존이 담겨 있다. 학교 식당에서 파는 음식에 질려버린 나는 주말에 한국시장에서 사온 반찬으로 도시락을 싸기 시작했다. 도시락통도 조악해서, 급하게 옮겨담은 반찬과 지난 주엔가 해놓은 밥통 속의 밥을 Ziploc에 넣어서 오는데, 곱게 가져오려고 애를 써도 점심때 열어보면 엉성한 비빔밥이 되어있다. 그나마, 전자렌지에 데우면 좀 먹을 만해지긴 했지만, 늘 내 튼튼한 비위에 감사했다.

어제, 이미 남김 없이 먹어버렸지만, 내 기억 속에 오래 남을 도시락 하나가 생겼다. 아침에 잠깐 보고 헤어진 내 여자친구는 점심에 생글 웃으면서 유부초밥이랑 미소된장국을 내 연구실 앞에서 건네 주었다. 먹는 동안, 자기는 만드느라 먹고 왔다며 옆자리를 지켜주었고, 파는 양념을 썼을 뿐이라며 겸손해 하고, 눈에는 피곤해서 실핏줄이 어렸으면서 샛노란 티셔츠와 깨끗한 청바지를 입고 발랄한 웃음을 보여주었다. 그 사람의 온 마음이 고맙고 감사해서, 유부초밥이 내 입으로 들어가는지 어디로 가는지 알 수 없었고, 연신 목이 막혀 미소된장국을 들이켰다.

그 전 밤 통화 내용을 생생히 기억하는데, 내 미안한 맘을 제대로 사과하지도 못했는데, 이 사람 이렇게 내 맘을 울린다. 이 사람 이렇게 내 맘을 울린다.

Monday, April 03, 2006

Austin, TX

Yeah. I've been to Austin. Here is the proof. :) Posted by Picasa

Wednesday, March 22, 2006

한국의 간판

I thought that signboards in Korea are ugly: 1) they are in rudimentary colors; 2) they disregards and don't make harmony with other signboards, building, and overall city aesthetics; 3) too busy. However, this cartoon gives me adifferent perspective: Korean signboards clearly show its dynamic and straighforward nature. Hm... interesting. However, I still cannot agree that Korean signboards look nice. ;)

(I don't put where this cartoon comes from since it has source URL on itself.)

Tuesday, March 21, 2006

Stone Mt.

비온 뒤의 돌산은 무척 아름다웠다.

흐린 날이어서 구름은 낮게 깔리고, 부슬비 덕분에 인적은 드물었다. 오리떼가 퍼덕거리지 않거나, 가끔 때 맞춰 울리는 녹음된 오르간 소리가 아니면, 먼발치 일행들 속삭이는 소리도 들렸다. 비에 젖은 숲은 예의 생생한 숨결을 내뿜어주고 있고 민둥 돌산이 비에 젖어 내려다 보고 있으니, 잔디를 파고 깡 소리를 내는 골프를 치고 있다는 것이 불경스러웠다. 대신, 조용히 눈을 감고 누군가에게 기도를 드려야 할 것 같았다.

흐린 날, 또 비가 간간히 오면, 다시 한 번 차를 몰고 그 곳에 가야겠다. 그 땐 제대로 경배드리리라.

하루가 또 쏜 살 같이 지났다.

Monday, March 20, 2006

미셸 윌리엄스

"인생은 언제나 최초의 순간들로 가득 차 있다. 그냥 손을 뻗어 그것을 붙들면 된다." - 미셸 윌리엄스의 인터뷰 에서

Monday, March 13, 2006

Saturday, March 04, 2006

사랑의 맛

비릿한 거니깐.

찬물에 헹굴수록 날카롭게 서는 비린 맛이니깐.

그 단맛 뒤에 비릿함이 아직도 익숙해지지 않는 건, 장미빛 찬란한 영화 탓일까 아니면 내 어리석음 탓 일까.

아주 비릿한 영화 한 편 보고 나서도 그대로 인 걸 보면, 영화 탓은 아니려나?

오늘, 파란 하늘이 칼날 같이 비리다.

Thursday, March 02, 2006

Nice lunch

Does it look nice? This is the luncheon table for the HSI symposium. :) Posted by Picasa

Saturday, February 25, 2006

Restaurant in UMBC

The international flags over our heads were quite pleasing. Posted by Picasa

No Chlid Left Behind

Interesting gates for Department of Education in Washington D.C. Posted by Picasa

Sunday, February 19, 2006

A proverb I found in a restroom

Watch your thoughts; they become words. Watch your words; they become actions. Watch your actions; they become habits. Watch your habits; they become characters. Watch your character; it becomes your destiny.

Friday, February 17, 2006

30

I just want to have a digital record that I've lived at least 30 years in this beautiful planet. Things happen around me are breath-takingly amazing. I thank Creator for this experence, memory, and everything.

Tuesday, February 14, 2006

A mural(?) in the IBB building

Whenever I pass by the IBB (Parker H. Petit Institute for Bioengineering and Bioscience) building which is in between the W23 parking lot and the Whitaker building I work in, I encounter this huge mural or picture. Today, after finishing an all-day long meeting with Young Sang and Chris, I encounter this again. I do not think that this one is very aesthestic or highly beautiful. Instead, the painter seems to be forced to draw some bioengineering-ness in it. However, in a building of an engineering department, having this kind of huge, about three-story tall, semi-artistic artifact is a rather seldom case. Sometimes, I eat my lunch in the second floor of the spiral stairs of this building. I enjoy this while I enjoy my lunch box. Hm, I think that I need a name for this. What about "it's bio-engineering department, dork!"?

Happy Valentine's Day. Nothing special happens today, as usual. :) Posted by Picasa

Saturday, February 11, 2006

간만에 주말에 랩이로군...

연구실이 Biomedical Engineering 건물로 옮겨온 이 후에는 주말에 남아서 뭘하게 되지가 않는다. 주차장이 멀리 있는데다가 한창 M-Building이 공사중이어서 한 번 차를 빼서 나오게 되면 연구실로 돌아오기보다는 집으로 향하게 된다. 전에는 주말에 한 주 동안 밀린 공부도 하고, 다음 주 준비도 하고 해서, 주말동안 정리가 되어가면서 일이 진행이 되었는데, 주말 정리가 없다보니 일이 산으로 가다 계곡에 처박혀 썩고 있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 책상 위에도 알 수 없는 논문들이 산처럼 쌓여서 전혀 읽고 싶은 생각이 없어지고...

역시, 인간은 환경에 영향을 받는단 말이지. 환경에 영향을 안 받으려고 바둥거리는 것보다는 환경을 변화시켜서 내 뜻대로 내가 행동하게 하는 것이 빠른 것 같다. 풍수지리나 명당자리도 이러한 환경에 영향받는 인간을 깊이 이해한 끝에 나온 것이 아닐런지. 올 7월에 또 한차례 M-Building으로 이사 간다곤 하지만, 지금 공사 진행 정도로 봐서는 아직 어떻게 될지 알 수 없겠다. 그보다는 빨리 논문 쓰고 졸업하는 것이 빠르겠지. 아무튼, 간만의 주말 칩거로 인해서, 책상도 책장도 정리가 되고, 뭔가 좀 집중할 수 있는 환경만 만들어놨다. 깨끗한 책상에 뿌듯해 하면서 글을 쓰곤 있는데, 일은 하나도 한게 없군. :)

이제 다음 한 주가 지나면, 전국 유람을 다니게 될 듯 하다. 하기에 따라 실속이 있을 법도 한 연구다만, 어째 교수님도 흥을 좀 잃으신데다가, 책임지고 해야할 사람이 버벅되고 있으니, 일의 진척이 미진하다. 오늘 내일 좀 정리해서, 전국 유람을 무사히 마치면 좋을텐데.

다음 주에는 늦은 개강 파티를 할 생각이다. 많이들 시간이 되려나.

Sunday, January 29, 2006

설날에 전화를 하고 보니...

이런 게 명절에 집에 내려가면 듣는 소린가 하는 소리를 들었다. 하지만, 멋진 아버님께서는 레토릭을 적절히 섞으셔서 맘 안 불편하게 하시는군. 유나가 고생했겠다 싶었다. 녀석, 회사 때려치고 공부하느라고 벌이도 없어서 기도 많이 죽었을텐데.

암튼,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교회에 다닌 것도 꽤 오래 되긴 되었다. 한 가지 배운 게 있는데, "감사하면서 사는 거"다. 성경 말씀이라는 둥 하면서 설교시간에 들으면 흘려듣기 좋은 소린데, 가만히 귀담아 듣고 생각해보면, 감사하면서 사는 거 참 중요한 것 같다. 욕심부리자면 끝이 없는 게 이 세상살이. 욕심부리고 있다보면, 늘 부족한 거 투성이고, 불평할 거 투성이고, 머리가 정말 아프다.

하지만, 달리 생각해보면, 감사할 게 너무 많다. "마니는 안 떨어졌나?" 하고 물어주시는 아버지도 그렇고 (유학생 아들이니 영어가 가끔 섞이신다), 기분 좋은 목소리도 이것저것 물어주시는 어머니도 그렇고 (이번 설에 목욕탕이 장사가 좀 되신 것 같기도 하다), 별 군소리 없이 내 하고 싶은 거 꾸준히 밀어주시는 교수님도 그렇고, 첫대면에 "소개팅 시켜주리?"라고 물어주던 중국계 미국인 부부들도 그렇고, 같이 밥해먹으면서 환담을 나눌 수 있는 룸메이트들 그렇고, 싱글이라고 설이라고 먹을 거 있는 곳에 불러주는 선배님들도 그렇고, "감사하다." 정말로.

이 세상에 왜 태어났을까? 이 질문에 갇혀서 한동안 방황했던 적이 있다만. 지금 생각해보면, 내가 세상에 있다는 것에 대해서 "왜"란 질문을 묻는 게 적절한게 아닌 것 같기도 하다. 이미 존재하는 걸 뭐. 게다가, 그 존재의 이유란게 내가 생각해본다고 알아질 것 같지도 않다.

다만, 지금 드는 생각은 세상은 감사할 거 투성이니 살아도 좋은 것 같다. 이만하면 멋진 인생 아닌가? (잘난 척이 좀 들어가긴 했다.) 지금 조금만 더 욕심을 내어본다면, 세상에 좀 보탬이 되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러면, 좀 더 멋진 인생이 될 것 같다.

새해에도 복 많이 받으시길.

Friday, January 27, 2006

Dust & Magnet at del.icio.us

Even before I add Dust & Magnet on del.icio.us, somebody did it first. Interesting.

Strange morning

This morning, my cell phone rang constantly to notify a voice mail. I got up. It was 7pm. I checked it out. It says something about my old friend, who visited me two weeks ago. But, I couldn't figure out who is speaking. At the end, I realized that it'me. It was my own voice. I didn't recognize my voice. The voice mail I left to my friend two weeks ago got back to me.

My strange voice woke me up. Things are so strange. I couldn't get up from my computer. I already spent one and half hour in front of my computer. Strange emptiness occupies my mind. I feel like that I am nothing. Nothing is important.

I need to take a show, which might wake me up.

Thursday, January 26, 2006